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Q&A모음>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사례

공통

  • A

    건강 상태가 좋을 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접종 시 의사 예진을 통해 예방접종 금기사항, 제외사항 등을 확인하여 예방접종 가능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

  • A
    • 코로나19 백신의 구성물질에 아나필락시스 등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 이전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확인된 경우, 이전 백신과 동일 종류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을 금기
  • A
    •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히 진단검사를 받도록 조치합니다.
    • 격리 중인 코로나19 확진자
    • 발열(37.5℃ 이상) 등 급성병증이 있는 경우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백신 접종 연기합니다.
    • 코로나19 백신(mRNA백신, 노바백스백신)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발생이 확인된 경우 안전성에 대한 근거가 마련될 때까지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기합니다.
    단, 다음과 같은 경우 코로나 19 예방접종에 유의하세요!

    코로나19 백신 성분*에 대해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경우

    * - (화이자백신, 모더나백신, 스카이코비원백신) polyethylene glycol(PEG) 또는 관련 성분(molecules)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 성분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모더나백신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트로메타민 성분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5-11세용 화이자백신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 (노바백스백신, 스카이코비원백신) polysorbate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 PEG와 polysorbate는 구조적으로 관련되어 있어 교차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 아나필락시스: 호흡곤란, 얼굴의 부기, 눈 또는 입술/입안의 부종, 몸 전체의 발진, 빠른 심장 박동, 현기증, 쇼크 등의 증상을 동반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이전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확인된 경우, 이전 백신과 동일 종류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을 금기

    약(장 세척제 등), 화장품, 음식, 다른 종류의 백신 등에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 예진표에 기록해 주세요.

  • A

    접종 후 15∼30분 동안 접종기관에 머무르며 이상사례가 나타나는지 관찰합니다.

    • 특별한 알레르기가 없었던 경우는 접종 후 15분간 관찰합니다.
    • 과거에 음식, 약물 등의 알레르기 경험이 있었던 경우에는 30분간 관찰합니다.

    귀가 후 최소 3시간 이상 안정을 취하며 이상사례가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며, 접종 후 최소 4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접종당일과 다음날은 과격한 운동 및 음주를 삼가고, 접종당일은 목욕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접종 부위는 청결히 유지합니다.

    특히 어르신의 경우 증상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예방접종 후 혼자 있지 말고 다른 사람과 함께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 A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국소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접종 후 면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2~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드물게 호흡곤란, 얼굴의 부기, 눈 또는 입술·입안의 부종, 몸 전체의 발진, 빠른 심장 박동, 현기증, 쇼크 등의 증상을 동반한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mRNA 코로나19 백신(화이자, 모더나) 접종 후 드물게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에는 매우 드물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나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바이러스벡터 백신 접종 후 4일에서 6주 사이에 주로 발생

    지금까지 알려진 백신별 주요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23.3.15일 기준). 최신 지견에 따라 변경 가능.

    백신별 주요 이상 반접종전,접종시,접종후 주의사응
    구분 전달체 백신(바이러스 벡터) 핵산 백신(mRNA)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화이자
    (6개월-4세용)
    화이자
    (5-11세용)
    화이자 모더나
    2021.2.10., 5.21 허가 2021.4.7. 허가 2022.11.25. 허가 2022.2.23. 허가 2021.3.5. 허가 2021.5.21. 허가
    매우 흔하게
    (≥1/10)
    주사부위압통, 주사부위통증, 주사부위온감, 주사부위소양증,주사부위 멍, 오심, 피로, 병감(권태), 오한, 두통, 열감(발열), 근육통, 관절통 주사부위통증, 오심, 피로, 근육통, 두통 주사부위 통증, 피로, 오한, 발열, 주사부위 종창, 주사부위 압통, 자극과민성, 두통, 졸음, 설사, 관절통, 근육통 주사부위통증, 주사부위종창, 설사, 피로, 오한, 발열, 관절통, 근육통, 두통 주사부위통증, 주사부위종창, 설사, 피로, 오한, 발열, 관절통, 근육통, 두통 주사부위압통, 주사부위종창, 림프절병증, 오심/구토, 피로, 오한, 발열, 근육통, 두통, 관절통
    흔하게
    (≥1/100 이고 <1/10)
    주사부위종창, 주사부위홍반, 구토, 설사, 사지통증, 열(발열), 인플루엔자 유사 질병 주사부위홍반, 주사부위종창, 발열, 오한, 관절통, 기침 주사부위 발적, 통증,오심, 구토 주사부위발적, 구토, 오심, 통증 주사부위발적, 구토, 오심, 통증 주사부위홍반, 주사부위 두드러기, 주사부위 발진, 발진
    흔하지 않게
    (≥1/1,000 이고 <1/100)
    림프절병증, 복통, 식욕감소, 어지러움, 졸림, 다한증, 소양증, 발진, 두드러기 발진, 다한증, 무력증, 권태, 근육쇠약, 사지통증, 등통증, 진전, 재채기, 구인두통증, 지각이상, 어지러움, 설사 림프절 비대, 과민반응(예,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혈관부종), 식욕감퇴, 불면증, 어지러움, 기면, 상복부통증, 구인두통증, 코막힘, 발진, 다한증, 야간발한, 사지통증, 등허리통증, 근골격 경직, 무력증, 권태, 주사부위 가려움, 주사부위 온감, 주사부위 부종, 주사부위 홍반, 독감유사증상 주사부위소양증, 주사부위온감, 주사부위부종, 주사부위홍반, 림프절비대, 상복부통증, 불면, 사지통증, 권태, 무력증, 코막힘, 발진,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식욕감퇴, 등허리 통증, 근골격경직, 어지러움, 기면, 구인 두통증, 다한증, 야간발한 주사부위소양증, 주사부위온감, 주사부위부종, 주사부위홍반, 림프절비대, 상복부통증, 불면증, 사지통증, 권태, 무력증, 코막힘, 발진,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식욕감퇴, 허리 통증, 근골격경직, 어지러움, 기면, 구인두통증, 다한증, 야간발한 주사부위 소양증
    드물게
    (≥1/10,000 이고 <1/1,000)
    - 과민증, 두드러기, 감각저하, 정맥 혈전색전증, 이명, 구토, 림프절병증, 정맥혈전 색전증 급성말초 안면마비 급성말초 안면마비 급성말초 안면마비 급성말초 안면마비, 안면종창
    매우 드물게
    (<1/10,000)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혈소판 감소증, 길랭-바레증후군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길랭-바레 증후군 - - 심근염, 심낭염 심근염, 심낭염
    빈도 불명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혈관부종,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 뇌혈관 정맥 및 정맥동 혈전증, 면역혈소판 감소증, 횡단성척수염 아나필락시스,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 면역 혈소판 감소증, 횡단성 척수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안전성 서한항목1) 길랭-바레증후군 길랭-바레 증후군 - 심근염/심낭염 심근염/심낭염 심근염/심낭염
    국외 안전성평가 길랭-바레증후군2)
    횡단성척수염4)
    길랭-바레증후군3)
    횡단성척수염4)
    피부소혈관염7)
    - - - -
    백신별 주요 이상 반접종전,접종시,접종후 주의사응
    구분 유전자 재조합 백신 핵산 백신(mRNA) 2가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화이자
    (BA.1)
    모더나
    (BA.1)
    화이자
    (BA.4/5)
    모더나
    (BA.4/5)
    2022.1.12. 허가 2022.6.29. 허가 2022.10.7.허가 2022.9.8.허가 2022.10.18.허가 2022.12.2.허가
    매우 흔하게
    (≥1/10)
    주사부위 압통, 주사부위 통증, 피로, 권태, 두통, 오심, 구토, 근육통, 관절통 주사부위 통증,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발열 피로, 오한 주사부위통증, 주사부위종창, 설사, 피로, 오한, 발열, 관절통, 근육통, 두통 주사부위압통, 주사부위종창, 주사부위홍반, 림프절병증, 오심/구토, 피로, 오한, 발열, 근육통, 두통, 관절통 주사부위통증, 주사부위종창, 두통,설사,관절통,근육통, 피로,오한,발열 주사부위 압통, 주사부위 종창,주사부위 홍반, 피로, 오한, 발열, 두통,오심,구토, 근육통,관절통, 림프절병증(액와 종창 및 압통)
    흔하게
    (≥1/100 이고 <1/10)
    주사부위 발적(홍반포함), 주사부위 부종, 발열, 사지 통증 오심/구토, 설사, 주사부위 발적, 주사부위 종창 주사부위발적, 구토, 오심, 통증 주사부위 두드러기, 주사부위 발진, 주사부위반응지연, 발진,설사 주사부위발적,통증, 오심,구토 주사부위 두드러기, 주사부위 발진, 주사부위 반응지연, 발진,설사
    흔하지 않게
    (≥1/1,000 이고 <1/100)
    주사부위 소양증,오한, 통증, 소양증, 림프절 비대,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어지러움, 지각이상, 사지통증, 주사부위 소양증, 주사부위 온감, 통증, 흉통, 발진, 구인두 통증, 기침, 두근거림 주사부위소양증, 주사부위온감, 주사부위부종, 주사부위홍반, 림프절비대, 상복부통증, 불면증, 사지통증, 권태, 무력증, 코막힘, 발진,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식욕감퇴, 등허리 통증, 근골격경직, 어지러움, 기면, 구인두통증, 다한증, 야간발한 주사부위 소양증, 졸음 주사부위 가려움, 주사부위 온감, 주사부위 부종, 주사부위 홍반,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림프절비대, 과빈만응(예,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혈관부종), 식욕감퇴, 불면증, 어지러움, 기면, 상복부통증, 구인두통증, 코막힘, 발진, 다한증, 야간발한, 사지통증, 등허리통증, 근골격 경직 주사부위 소양증, 졸음
    드물게
    (≥1/10,000 이고 <1/1,000)
    - 림프절병증, 감각저하, 복통, 소화불량, 등허리 통증, 서혜부 통증, 무력증, 소양증, 다한증, 상기도 감염, 멜라닌 세포 모반 급성말초 안면마비, 두드러기, 혈관부종 급성말초 안면마비, 안면종창, 감각저하, 지각이상 급성말초 안면마비 급성말초 안면마비, 안면종창, 감각저하, 지각이상
    매우 드물게
    (<1/10,000)
    - - - 심근염, 심막염 심근염, 심막염 심근염, 심막염
    빈도 불명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 과민증,다형홍반, 접종 받은 사지의 광범위한 종창 아나필락시스, 감각이상,지각감퇴, 다형홍반,접종받은 사지의 광범위한 종창, 얼굴종창 아나필락시스, 과민증, 다형홍반, 접종받은 사지의 광범위한 종창
    안전성 서한항목1) - - - - - -
    국외 안전성평가 심근염/심낭염5)
    아나필락시스6)
    감각이상/감각저하6)
    - - - - -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https://nedrug.mfds.go.kr)

    1)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안전성 서한( 아스트라제네카 길랭-바레증후군 7.27, 얀센 길랭-바레 증후군 7.27, mRNA 백신 심근염심낭염 6.25.)

    2) 유럽 EMA 약물감시위험평가위원회(PRAC)의 아스트라제네카백식과 길랭-바레증후군간 인과관계가 합리적인 가능성으로 간주됨에 따라 제품정보에 추가(9.8.)

    3) 미국 FDA의 얀센백신 긴급사용승인정보 개정(7.13.)(연관성은 미확인)

    4) 유럽 EMA 약물감시위험평가위원회(PRAC)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및 얀센 백신의 제품안내서에 횡단성척수염 추가 권고(’22.1.14.)

    5) 미국 FDA 백신자문위원회, 안전성 연구 결과 심근염 및 심낭염 발생이 확인되어 백신과 인과관계 확인 필요 발표(’22.6.7.), EMA에서 제품설명서에 등록 권고((’22.8.3.)

    6) 유럽 EMA 약물감시위험평가위원회(PRAC)에서 노바백스 제품설명서에 등록 권고(’22.7.13.)

    7) 유럽 EMA 약물감시위험평가위원회(PRAC)에서 얀센 제품설명서에 등록 권고(’22.3.17.)

  • A

    예방접종 후 발열, 피로감, 접종부위 통증, 발적 등 이상사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면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으로 대부분 2∼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다만 이러한 상태가 48시간이상 지속되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A

    해열ㆍ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 가급적 염증을 제거하는 효과가 없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의약품을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제품은 동일한 효능·효과를 가진 제품이므로 약사의 복약지도에 따라 알맞은 용법·용량으로 선택 복용할 수 있으며,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제품 종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준비하시고 증상이 나타나면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증상이 지속된다면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이력이 있는 경우 다른 성분의 해열진통제 복용에 대해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진통제 제품목록]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으로 허가된 일반의약품 으로 구성
    순번 제품명 업체명
    1 나스펜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조아제약(주)
    2 다산아세트아미노펜정500밀리그램 (주)다산제약
    3 동광아세트아미노펜정160밀리그람 동광제약(주)
    4 라페론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안국약품(주)
    5 라페론정16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안국약품(주)
    6 라페론정325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안국약품(주)
    7 루트펜325밀리그램정(아세트아미노펜) (주)바이넥스
    8 마하펜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일양바이오팜(주)
    9 삼남아세트아미노펜정 삼남제약(주)
    10 삼남아세트아미노펜정500밀리그람 삼남제약(주)
    11 삼익아세트아미노펜정500밀리그람 삼익제약(주)
    12 세리콘정(아세트아미노펜) 오스틴제약(주)
    13 세타펜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주)보령바이오파마
    14 세토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삼아제약(주)
    15 세토펜정(아세트아미노펜) 삼아제약(주)
    16 세토펜정325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삼아제약(주)
    17 세토펜정8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삼아제약(주)
    18 솔루아펜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현대약품(주)
    19 슈메디펜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에스케이케미칼(주)
    20 스피드싹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제일헬스사이언스(주)
    21 써스펜8시간이알서방정650mg(아세트아미노펜) 한미약품(주)
    22 아니스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콜마파마(주)
    23 아미세타정325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주)휴온스
    24 아세노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주)일화
    25 아세트엠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주)마더스제약
    26 아세핀정(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신일제약(주)
    27 아스타펜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삼남제약(주)
    28 아스타펜정16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삼남제약(주)
    29 아스타펜정325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삼남제약(주)
    30 알파아세트아미노펜정500밀리그람 알파제약(주)
    31 에스빌아세트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이연제약(주)
    32 엔시드8시간이알서방정650mg(아세트아미노펜) 한림제약(주)
    33 엘앤씨메가펜정(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주)엘앤씨바이오
    34 영진아미노펜연질캡슐325mg 영진약품(주)
    35 이두패프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에스케이케미칼(주)
    36 이알펜8시간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주)경보제약
    37 이지엔6에이스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주)대웅제약
    38 일성아세트아미노펜정160밀리그램 일성신약(주)
    39 일성아세트아미노펜정325밀리그램 일성신약(주)
    40 지엘아세트아미노펜정 지엘파마(주)
    41 지엘아세트아미노펜정300밀리그람 지엘파마(주)
    42 크린탈정(아세트아미노펜) 일양약품(주)
    43 타미노펜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주)녹십자
    44 타미스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주)한국글로벌제약
    45 타세놀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부광약품(주)
    46 타세놀8시간이알서방정325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부광약품(주)
    47 타세놀정50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부광약품(주)
    48 타스멘정(아세트아미노펜) 대우제약(주)
    49 타스펜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대우제약(주)
    50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주)한국얀센
    51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325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주)한국얀센
    52 타이레놀정16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주)한국얀센
    53 타이레놀정50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주)한국얀센
    54 타이레펜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주)휴비스트제약
    55 타이렌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에이프로젠제약(주)
    56 타이로펜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주)알피바이오
    57 타이리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하나제약(주)
    58 타이맥스연질캡슐(아세트아미노펜) 코스맥스파마(주)
    59 타이몰8시간이알서방정650밀리그램(아세트아미노펜) (주)동구바이오제약
    60 타이펜8시간이알서방정 영풍제약(주)
    61 토루판8시간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조아제약(주)
    62 토루판정(아세트아미노펜) 조아제약(주)
    63 트라몰8시간서방정65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코오롱제약(주)
    64 트라몰정160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코오롱제약(주)
    65 트라몰정325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 코오롱제약(주)
    66 트리스펜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동화약품(주)
    67 티메롤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주)서울제약
    68 펜세타정(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대원제약(주)
    69 펜잘8시간이알서방정(아세트아미노펜) (주)종근당
    70 휴텍스에이에이피정325밀리그람(아세트아미노펜제피세립) 한국휴텍스제약(주)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www.mfds.go.kr) →알림 →보도자료

  • A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통증이 있는 경우 통증 부위에 깨끗한 수건 등으로 냉찜질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접종 후 발열이 있는 경우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시기 바라며, 발열로 인한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는 해열ㆍ진통제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근육통이나 두통이 있을 수 있는데 예방접종 후 면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반응으로 2∼3일 내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48시간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열이 지속되면 예방접종 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되었거나 항체가 생기기 전에 감염된 것일 수 있으므로 즉시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 A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접종기관 또는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 접종 후 아래의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 가슴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이나 숨가쁨, 호흡 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증상이 있을 경우
    • 바이러스벡터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아래의 증상이 있는 경우
      • 심한 또는 2일 이상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 급격한 팔·다리의 부종, 갑작스러운 체중증가 등
    • 기타 의사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접종부위의 통증, 부기, 발적이 48시간 이후에도 악화되는 경우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예방접종 후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
      • 입술, 얼굴이 붓거나 온몸에 심한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갑자기 의식이 없거나 쓰러진 경우
  • A

    의료기관 신고
    이상사례 의심사례를 진료한 의사(한의사, 치과의사)가

    • 「코로나19 예방접종관리시스템(https://is.kdca.go.kr)」을 통해 신고하거나, 예방접종 후 이상사례 발생신고(보고)서를 작성하여 팩스로 이상사례자의 주소지 관할 보건소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접종받은자(보호자)가 이상사례 보고를 직접 하는 경우

    • 예방접종도우미누리집 (https://nip.kdca.go.kr) 혹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문자로 전송받은 건강상태 확인하기를 통해 직접 이상사례 보고가 가능합니다.
    • 이 경우 접종자의 관할 보건소에서 보고내용 및 진료여부를 확인한 이후 신고로 전환됩니다.

    예방접종 후 발생한 피해 보상 신청

    인과성 불충분한 환자 의료비 지원

6개월-4세 영유아

  • A

    영유아 접종을 시행 중인 국외 주요국을 확인 결과 보고된 이상사례는 발열, 두통, 설사 등 대부분 일반 이상사례 였으며, mRNA 백신 접종 후 매우 드물게 심근·심낭염이 발생할 수 있으나 현재까지 영유아에서 심근·심낭염 발생 위험은 다른 연령대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 1. 일본(일본후생성, ‘23.1.20일 발표)
      • (6개월-4세 현황) 코로나19 예방접종 107,565건 중 이상사례는 2건이 보고
      • (6개월-4세 심근·심낭염) 심근·심낭염으로 의심되는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 2. 캐나다(캐나다 보건부, ‘23.2.17일 발표)
      • (6개월-4세 현황) 코로나19 예방접종 295,445건 중 이상사례 보고는 106건으로 보고
      • (6개월-4세 심근·심낭염) 심근·심낭염으로 의심되는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 3. 이스라엘(이스라엘 보건부, ‘23.1.3일 발표)
      • (6개월-4세 현황) 코로나19 예방접종 1,836건 중 보고된 이상사례는 없음
    • 4. 이탈리아(이탈리아 의약품청, ‘23.3.2일 발표)
      • (6개월-4세 현황)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보고된 이상사례는 없음

5-11세 소아

  • A
    접종전,접종시,접종후 주의사항
    접종 전
    • 건강 상태가 좋을 때, 의사의 예진 후 접종 받기
    •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거나 발열(37.5℃ 이상)등 급성병증이 있는 경우 접종을 연기
    접종 시
    • 백신은 어깨 가까이에 주사합니다. 어깨 내밀기 쉬운 옷으로 준비하기
    접종 후
    • 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무르며 이상사례 발생여부 관찰하기
    • 귀가 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일주일정도는 고강도의 운동 및 활동 자제하기
    •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하며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의 진료 받기
  • A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메스꺼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 얼굴의 부기, 눈 또는 입술/입안의 부종 등을 동반한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mRNA 백신(화이자) 접종 후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이나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증상이 나타나는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11세 접종을 먼저 시행하고 있는 해외 국가에서 5-11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는 구토, 발열, 두통 등 일반 이상 반응이었습니다. 이는 성인과 유사하며, 증상은 대체로 수일 내 소실되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해외 국가에서 5-11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심근염 발생위험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다는 보고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 1. 미국(예방접종전문위원회 ACIP, ‘22.5.20일 발표)
      • (5-11세 현황) 접종건수 1800만 명 접종 중 이상사례는 9,001건이 보고되어 보고율은 0.05%, 일반 이상사례가 97%(8,750건), 중대한 이상사례가 3%(251건)
      • (5-11세 심근염) 심근염 20건 보고, 5-11세 접종 이후 심근염 보고비율은 12~17세보다 낮음
    • 2. 호주(연방의료제품청(TGA) 보고, ‘23.2.9일 발표)
      • (5-11세 현황) 5-11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약 230만건 중 이상사례 보고는 1,660건으로 보고율(0.06~0.07%), 흉통, 구토, 발열, 두통, 메스꺼움 등 일반 이상사례이었다고 보고
      • (5-11세 심근염) 심근·심낭염으로 의심되는 사례 39건이 보고되었으나, 심근염 4건, 심낭염 7건이 가능성 확인
    • 3. 독일(연방 보건부 관할 연구소(PEI) 보고, ‘22.6.30일 발표)
      • (5-11세 현황) 5-11세 화이자 접종 이후 988건 이상사례,모더나 접종 이후 3건, 아스트라제네카 2건이 보고되었고 주로 미온적이고 일시적인 이상반응임
    • 4. 이스라엘(이스라엘 보건부,’22.9.30일 발표)
      • (5-11세 심근염) 5-11세 코로나19 예방접종 58만 건 중 접종 이후 심근염으로 보고는 없음
  • A

    접종부위 부기, 통증이 있는 경우 깨끗한 마른 수건을 대고 그위에 냉찜질 하기

    미열이 있는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기

    발열이나 근육통 등으로 불편함이 있는 경우 해열진통제를 복용하기

    * 예방접종 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 준비, 예방접종 후 몸살 증상이 나타날 경우 해열진통제 복용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으세요

    • 가슴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이나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등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 접종부위의 통증, 부기, 발적이나 발열 등이 접종 후 2일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경우
    • 접종 후 갑자기 기운이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세요

    •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 입술·얼굴이 붓거나 온몸에 심한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나이가 어릴수록 증상표현이 미숙할 수 있으니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상사례 발생이 의심될 경우 1339 또는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내 ‘예방접종 후 건강상태 확인하기’에서 이상사례와 대처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18세 청소년

  • A

    사전예약 기간이 충분히 길고, 접종 기간 중 잔여백신으로도 접종 받으실 수 있으므로 보호자께서는 여유를 두고 평소 다니는 청소년과 병의원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에 관한 상담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상태가 좋은 날 백신접종을 받도록 하고, 접종 후에는 15∼30분간 의료기관에 머물면서 이상사례를 관찰 한 후 귀가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2∼3일간은 몸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 이상이 있을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A

    주사부위 통증, 부기, 발적 등 국소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두통, 오한, 발열, 근육통, 관절통 등 전신 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 일반적인 이상사례 및 관리방법
    이상사례 관리방법
    주사 부위의 동증, 부기, 발적 깨끗한 마른 수건을 대고 그 위에 냉찜질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피곤함 미열이 있는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
    발열이나 근육통이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해열제 복용
    목이나 팔의 림프절 부종 일반적으로 일주일 정도면 회복

    미국에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12∼18세, 890만 명의 실제 접종(’20.12.14∼’21.7.16) 후 신고*된 이상사례는 1,000명 당 1건이었으며, 이중 두통, 발열 등과 같은 일반적 이상사례가 보고사례의 90.7%였습니다. *예방접종이상사례에 대한 정보수집을 위한 안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VAERS 및 v-SAFE

    • 주사부위 통증, 부기, 발적 등 국소반응은 1차 접종 후 주로 나타났으며, 두통, 오한, 발열, 근육통, 관절통 등 전신반응은 2차 접종 후에 주로 나타났습니다1)
      1) Hause et al. MMWR report 70(31): 1053-1058.

    다음과 같은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접종부위 통증, 부기, 발적 등 일반 이상사례이 48시간(2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 가슴 통증·압박감·불편감, 호흡곤란이나 숨가쁨, 호흡 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등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 심근염‧심낭염 진단가능 의료기관 안내
    • 기침, 콧물, 인후통, 숨가쁨, 미각 및 후각 상실과 같은 호흡기 증상 발생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예방접종 후 숨쉬기 곤란하거나 심하게 어지러운 경우
    • 입술, 얼굴이 붓거나 온몸에 심한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 갑자기 의식이 없거나 쓰러진 경우
  • A

    mRNA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관찰된 심근염 및 심낭염의 위험을 고려할 때,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 특히 청소년과 젊은 남성은 1차 및 2차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격렬한 신체 활동(예, 수영, 사이클링, 달리기,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을 피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기간 동안 청소년들은 가슴 통증, 숨가쁨 또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발생하면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백신 접종 관련 의심사례로 신고된 심근염 환자는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보이며, 백신과 관련 없는 일반적인 심근염(바이러스 감염, 소아 다기관염증증후군 원인)에 비해 매우 빠르게 증상이 회복되었습니다1) 1) ’21.11.2일 미국 ACIP 발표자료

임신부

  • A
    질병관리청 | 전문가가 전하는 예방접종 이야기 - 여섯번째 |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조금준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TFT 고려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 질병관리청 | '코로나19 고위험군인 임신부는 예방접종이 필요해' | 임신부는 코로나19 감염 고위험군으로 8월 31일 기준,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확진된 임신부의 위중증률은 2.05%로, 일반 가임기 비임신 여성(0.34%)에 비해 6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4분기 시행계획 참고자료 (별첨2,9.27.) | 미국의 연구에서도 코로나19에 감염된 임신부는 가임기의 비임신 여성과 비교해, 중환자실 입원은 3대 , 인공호흡기 착용은 2.9배, 사망률은 1.7배가 높은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Characteristics of symptomatic women of reporductive age with laboratory-confirmed SARS-CoV-2 Infection by pregnancy status-United States, January 22- October 3,2020,MMMWR 2020 |
이러한 결과들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7 질병관리청 |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임신부와 수유부에게 안전하고 효과적' | 우리나라보다 먼저 임신부 접종을 시작한 미국과 이스라엘의 연구*에 따르면, mRNA 백신 접종 후 부작용 발생 비율은 임신하지 않은 여성과 유사했습니다. 또한, 분만시 조산, 유산, 기형아 발생비율도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임신부와 차이가 없었습니다. | 1) Short-term outcome of pregnant women vaccinated by BNT162b2 mRna COVID-19 vaccine, Ultrasound in Obstetrics & Gynecology, 2021
| 2) Association between BNT162b2 vaccination and incidence of SARS-CoV-2 infection in prgnant women, JAMA,2021 | 3) Preliminary findings of mRna covid-19 vaccine safety in pregnant persons, New Englnand Journal of Medicine, 2021 | 3/7 질병관리청 |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임신부와 수유부에게 안전하고 효과적' | 오히려 임신부의 mRNA 백신 접종은 코로나19 감염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예방접종을 통해 형성된 면역은 신생아에게 태반 및 모유 수유를 통해 전달**되기도 합니다. | * Goldshtein,L., Nevo.D, Steinberg, DM., Rotem, RS., Gorfine, M et al.Association between BNT162b2 vaccination and incidence of SARS-CoV-2 infection in porgnant women, JAMA. 2021;326(8):758-735. doi:10.1001/jama.2021.11035 | ** Coronavirus disease 2019 vaccine response in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 a cohort study. Am J
Obstet Gynecol. Published online March 25,2021. | 4/7 질병관리청 | '코로나19 감염시 합병증 위험이 높은 기저질환이 있는 임신부도 접종을 권고해' | 영국,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면역저하자 등 코로나19 감염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더 높은 임신부에 대해서도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저질환자나 만 35세 이상의 고위험 인신부는 예방접종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전문의 에게 충분히 안내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12주 이내의 초기 임신부는 접종 전 임신부와 태아의 상태를 진찰하고 접종받으실 것을 권고 드립니다. | 5/7 질병관리청 | 임신부는 코로나19 감염 고위험군으로 감염시 합병증이나 조산등의 위험도 증가하게 됩니다. 예방접종은 코로나19로부터 임신부를 보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가족 구성원들도 적극적으로 예방접종에 참여해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데 동참해 주시길 바랍니다. | 조금준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TFT 고려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 | 6/7 질병관리청 | '예방접종 순서가 오면 건강상태가 좋은날 접종을 받아주시기리 당부드립니다.' | 7/7

    미국1), 영국2), 캐나다3), 호주4) 등 대부분의 국가는 임신부 및 수유중인 자에게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임신 전(全) 기간에서 예방접종이 임신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는 없었으며, 많은 연구에서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미국에서 진행된 접종사례를 분석한 결과, 예방접종 후 이상사례 발생 및 빈도는 임신하지 않은 여성의 경우와 유사하였습니다. 또한 분만 시 조산, 유산, 기형아 발생 비율도 비접종자와 차이가 없었습니다.

    • (미국) 출산 후 3개월까지 추적조사를 임신부(5,096명)에서 수행한 결과, 주사 부위 통증, 전신 부작용 등이 임신하지 않은 여성과 유사했습니다. 또한 분만 시 조산, 유산, 기형아 발생 비율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임신부와 차이가 없었습니다5)
    • (미국) 화이자, 모더나 등 mRNA 코로나19 백신의 실제 접종 후 임신부로 확인된 35,691명에 대한 이상사례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이상사례은 임신하지 않은 여성에서 관찰된 사항과 유사하였습니다. 또한 임신이 완료된 827명에 대한 분석결과에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안전위해신호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6)
    • (이스라엘)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산모 3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21.1.~2.) 주사부위 통증 및 발열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두통, 근육통은 오히려 대조군보다 감소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분만을 한 57명 중 조산은 없었고, 신생아 예후는 일반 산모와 유사했습니다7)

    1)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누리집, “임신 및 모유 수유중 코로나19 백신”

    2)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 누리집, “임산부에게 코로나19 백신 권장”

    3) 캐나다 보건부 누리집, “예방접종 및 임신: COVID-19”

    4) 호주 보건부 누리집, “임신, 수유 및 코로나19 백신”

    5) 미국 예방접종전문위원회(ACIP) 발표자료, ’21.9.22.

    6) Shimabukuro et al. (2021) Preliminary Findings of mRNA Covid-19 Vaccine Safety in Pregnant Persons. N Engl J Med 384:2273-2282.

    7) 출처 : Peretz et al. (2021) Short-term outcome of pregnant women vaccinated with BNT162b2 mRNA COVID-19 vaccine. Ultrasound Obstet Gynecol 58(3):450-456.)

    임신부 코로나19예방접종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조금준 고려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

  • A

    우리나라 및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에 사용되고 있는 mRNA 코로나19 백신은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mRNA(유전물질)로만 구성되어 코로나19 감염이 일어날 수 없습니다.

    (미국) 화이자, 모더나 등 mRNA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임신부에게서 태어난 724명 신생아의 이상사례 발병률과 코로나 19 유행 이전에 보고된 발병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1)
    1)Shimabukuro et al. (2021) Preliminary Findings of mRNA Covid-19 Vaccine Safety in Pregnant Persons. N Engl J Med 384:2273-2282.

    또한 임신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에 의해 모체에 형성된 항체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2)
    2)Trostle, M.E., et al. (2021) High antibody levels in cord blood from pregnant women vaccinated against Am J Obstet Gynecol MFM Sep 22 Online ahead of print

  • A

    코로나19 백신은 산모나 아기를 포함하여 누구에게도 코로나19 감염을 일으킬 수 없습니다.

    현재 미국1), 영국2), 캐나다3), 호주4) 등 여러 국가에서 모유 수유 중인 여성에게 코로나19 예방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모유 수유중인 사람들의 모유에는 항체가 있어 아기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호주*567) * * 아기의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모유 내 항체에 대한 통계 기반 연구결과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1)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누리집, “임신 및 모유 수유중 코로나19 백신”

    2)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 누리집, “임산부에게 코로나19 백신 권장”

    3)캐나다 보건부 누리집, “예방접종 및 임신: COVID-19”

    4)호주 보건부 누리집, “임신, 수유 및 코로나19 백신”

    5)Gray KJ, et al. (2021) Coronavirus disease 2019 vaccine response in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a cohort study. Am J Obstet Gynecol. Published online March 25

    6)Perl SH, et al. (2021) SARS-CoV-2–Specific Antibodies in Breast Milk After COVID-19 Vaccination of Breastfeeding Women. 325(19):2013–2014.

    7)Kelly JC, et al. (2021) Anti–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antibodies induced in breast milk after Pfizer-BioNTech/BNT162b2 vaccination. Am J Obstet Gynecol. 225(1):101-103.

  • A

    임신부 접종 후 이상사례는 일반인 접종자와 반응이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에 하루, 이틀 정도는 주사를 맞은 팔의 통증 또는 압통, 피로감, 두통, 통증 및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열이 나면 휴식을 취하시고,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을 권장드리며, 약을 복용 후에도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는 임신 20주 전후에 양수량 감소 및 합병증 초래, 태아에게 드물지만 신장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권장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담당 산부인과 진료를 반드시 받으셔야 합니다.

    •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 시 통증
    •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 질출혈, 복통(지속적 자궁수축 등)
    • 실신

이상사례관련 모니터링

  • A

    국내 이상사례 발생 동향의 경우, 정기적인 보도참고자료로 대국민께 공개되고 있으며, 분석된 종합적인 자료는 매월 마지막주 목요일마다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내 주간 분석 자료는 물론, 국외 발생동향도 매월마다 갱신하고 있으며, 예방접종 누리집에 공개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예방접종 누리집 상단▶이상반응▶이상반응 발생동향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

  • A

    아나필락시스는 매우 드물지만, 갑자기 발생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피부, 호흡기, 순환기, 신경계 및 위장관계 증상이 나타납니다.

    • 피부가 전신적으로 붉어지거나 두드러기가 생김, 얼굴 부종
    • 목이 붓고 조이는 것 같음, 말하기 힘들고 목소리가 잠김, 숨이 차고 쌕쌕거림
    • 어지럽거나 의식이 없음, 창백하거나 늘어짐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으므로 빠른 응급처치가 필요하며, 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심근염 및 심낭염

  • A

    심근염은 심장의 근육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이고,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싼 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입니다.

    mRNA 코로나19 백신(화이자, 모더나)접종 후 심근염 및 심낭염 발생이 드물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12∼18세, 890만명의 실제 접종(’20.12.14∼’21.7.16) 후 신고*된 이상사례 보고에서 이상사례 보고는 1,000명 당 1건, 이중 두통, 발열 등과 같은 일반적 이상사례가 보고사례의 90.7%였으며, 드물게 심근염ㆍ심낭염이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경증이었고 심근염ㆍ심낭염으로 인한 사망 사례 보고는 없었습니다. * 예방접종이상사례에 대한 정보수집을 위한 안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VAERS 및 v-SAFE (출처: Hause et al. MMWR report 70(31): 1053-1058)

  • A

    심근염, 심낭염의 주요 증상은 가슴통증·압박감·불편함, 호흡곤란이나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등입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런 의심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심근염ㆍ심낭염 진단가능 의료기관 현황

    • 각 지자체에서 조사한 자료로 홈페이지 공개에 동의한 의료기관만 기재, 지자체별 정보가 확보되는대로 업데이트 예정
    심근염 심낭염 진단가능 의료기관 현황
    시군구 의료기관명 심전도 검사 경흉부 심초음파 트로포닌 검사 응급실 운영 여부

기타

  • A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코로나19 백신 등 아데노바이러스벡터 기반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과 혈전증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매우 드물지만 아데노바이러스벡터 기반 백신 접종 후 4일에서 6주 사이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백신과 연관된 자가면역질환으로 추정되는데, 헤파린 유도 혈소판감소증과 유사기전 또는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에 포함된 유전물질이 특이 단백질을 생성하여 혈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코로나19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백신 접종 후 4일에서 6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의 의심증상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 심한 또는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 A

    길랭-바레증후군은 체내 면역체계가 뇌, 척수 밖에 위치한 신경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신경학적 장애로,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길랭-바레증후군의 증상은 경증의 쇠약에서부터 심한 마비까지 이를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심각한 증상을 겪은 후 에도 완전히 회복되지만 일부는 계속해서 어느 정도 쇠약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및 국외 의약품 규제기관(EMA, FDA)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과 얀센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길랭-바레증후군 보고 사례가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발표하였고, 이에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의약품 안전성 서한을 배포하였습니다(2021.7.27., https://nedrug.mfds.go.kr/pbp/CCBAC01/getItem?safeLetterNo=471). 아직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길랭-바레증후군 발생이 백신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길랭-바레증후군 상태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조기 진단과 증상완화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의심 증후와 증상에 대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 A

    길랭-바레증후군의 주요 의심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사물이 두 개로 보임,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움
    • 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려움
    •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움, 불안정함
    • 걷기 어려움
    • 손과 발의 저린 감각
    • 팔과 다리, 몸통 및 얼굴의 약함
    • 방광 조절, 장 기능 장애
  • A

    뇌졸중 일반사항

    • 세계뇌졸중기구(World Stroke Organization)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25세 이상 인구 4명 중 1명이 일생중에 뇌졸중을 겪게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성인 60명 중 1명이 뇌졸중 환자이고, 매년 10만5천명의 신규 뇌졸중 환자가 발생(5분에 한 명 발생 빈도)합니다.
    • 뇌졸중은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눌 수 있으며, 뇌졸중은 뇌로 가는 뇌혈관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병을 모두 지칭하는 것으로, 뇌혈관이 막혀 증상이 발생하면 뇌경색, 뇌혈관이 터지는 경우 뇌출혈이라고 합니다.
    • 뇌졸중은 동맥 뇌경색과 정맥 뇌경색으로 나뉠 수 있으며, 뇌경색에는 동맥 뇌경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정맥 뇌경색은 매우 드물게 나타납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과 뇌졸중의 연관관계?

    •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동맥에 생기는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발생했다는 국내외 문헌보고는 없습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동맥 뇌경색이 발생했을 경우, 예방접종이 뇌경색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습니다.
    • 다만, 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을 접종 받은 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혈전증으로 뇌정맥혈전증에 의한 뇌경색이 발생했다는 보고는 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및 예방접종에 의한 뇌졸중 발생확률?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혈소판감소성혈전증이 생길 가능성이 백만명 당 2∼15명이며, 이 중 절반 가량에서 뇌정맥 혈전증이 생깁니다. 국내는 약 2천만명 접종 후 3건의 혈소판감소성혈전증이 발생했으며, 이 사항은 일반적으로 정맥 뇌경색이 발생할 가능성 백만 명 당 3명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은 100명당 2명입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뇌졸중,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남효석 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 A

    mRNA 백신접종(모더나, 화이자) 후 주사 부위 또는 그 주변의 통증 및 부기 등 피부 과민반응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과한 경우, 코로나 팔(COVID Arm)이라고 하며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한 가려움증
    • 다양한 크기의 붉은색 또는 변색된 발진
    • 발진이 손이나 손가락으로 퍼지는 경우도 있음
    • 부종, 통증
    • 피부를 만졌을 때 따뜻한 느낌
    • 주사를 맞은 피부 아래 딱딱한 덩어리

    코로나 팔(COVID Arm) 증상은 일반적으로 1차 접종 후 7일, 2차 접종 후 2일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드물게 발생합니다.

    코로나 팔(COVID Arm) 증상은 3-5일 동안 지속되며 합병증 없이 저절로 호전됩니다. 증상은 빠른 호전에 프로드니손과 같은 약물을 추천하며, 통증, 부기 및 가려움증 등 해소를 위해 냉찜질,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진통제, 경구용 항히스타민제,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등의 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감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로, 득과 실을 비교하였을 때 백신 보호의 이점이 코로나19 감염의 위험보다 더 큽니다. 그리고 코로나 팔(COVID Arm)은 며칠 안에 호전되는 증상으로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진행하지 않으며, 아나필락시스와 관련이 없습니다.

  • A

    코로나19 예방접종이 대규모로 이뤄지면서 영국 의약품규제청(MHRA)의 이상사례 신고시스템에 4만여건(’21.10.27일까지 총 4,940만 접종건 중)1)이 신고되었습니다.

    • 보고된 생리장애 증상은 일시적이었으며,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생리장애 발생률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에 조사된 일반적인 생리장애 발생률보다 낮았습니다2)

    코로나19백신 안전성연구센터의 연구 결과, 코로나19백신 접종 후 이상자궁출혈(과다출혈, 빈발월경)은 국내에서 발생위험 증가가 관찰되어 관련 사례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2022.8.16.부터 이상자궁출혈(과다출혈, 빈발월경)은 관련성 의심질환으로 지원중에 있습니다.

    만약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예상치 못한 질 출혈을 경험하거나 장기간 또는 심각한 생리장애가 우려되는 여성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해외 보고에 따르면 임상시험 중 백신을 접종한 집단과 접종하지 않은 집단 사이의 의도하지 않은 임신은 비슷한 비율로 발생하였으며2), 관련 연구에서 가임력 측정 및 임신율 또한 두 개 그룹 간 비슷하게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3,4). 이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이 생식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근거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1) 영국 의약품규제청(MHRA) 보고서, ’21.11.4.

    2) Male V. (2021) Are covid-19 vaccines safe in pregnancy? Nat Rev Immunol 21:200-1.

    3) Orvieto R, et al. (2021) Does mRNA SARS-CoV-2 vaccine influence patients’ performance during IVF-ET cycle? Reprod Biol Endocrinol 19:69.

    4) Bentov Y, et al. (2021) Ovarian follicular function is not altered by SARS-Cov-2 infection or BNT162b2 mRNA Covid-19 vaccination. medRxiv 2021.04.09.21255195.

  • A

    미국질병통제센터(CDC), 유럽의약품청(EMA) 및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보건기관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이상사례로서 탈모가 제시된 사항은 없었습니다.

    미국질병통제센터(CDC)에서는 원형탈모증을 가지고 있는 자가면역질환자의 경우에도 코로나19 예방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피부학회 등에서 코로나19 감염의 후유증으로 탈모가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발열 또는 질병에 의한 일시적 탈모(휴지기 탈모)로서 6∼9개월 내 기존의 모발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TOP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