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반응>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무엇인가요?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관련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에 대한 이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란
- 일반 혈전증과 달리 발생확룰이 희박하고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뇌정맥동혈전증, 내장정맥혈혈전증 등과 같은 희귀한 혈전증 입니다.
- 매우 희박하지만 예방접종 후 4일 ~ 28일 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6.16 기분) 2건이 확인되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혈전 의심증상으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 접종 후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 흉통, 지속적인 복부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경우 등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의사의 진료를 통해 조기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회복 가능한 질환입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 감시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관련 전문 학회*와 신속한 사례 공유로 진단, 치료 대응역량을 강화해나가겠습니다.
* 대한신경과학회, 한국혈전지혈학회
2021.06.18
혈소판감소성 혈전증과 일반 혈전증의 비교
- | 일반혈전증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
---|---|---|
임상특징 |
동맥
정맥
|
아스트라제네카/얀센백신 접종 후 4일에서 28일 사이에 발병
|
검사지표 |
|
|
발생기전 |
|
백신과 연관된 자가면역질환 추정
|
치료 |
동맥
정맥
|
|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혈액응고장애 자문단(2021.6.11)
2021.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