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비 1180px 이상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관련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에 대한 이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란

  • 일반 혈전증과 달리 발생확룰이 희박하고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뇌정맥동혈전증, 내장정맥혈혈전증 등과 같은 희귀한 혈전증 입니다.
  • 매우 희박하지만 예방접종 후 4일 ~ 28일 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6.16 기분) 2건이 확인되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혈전 의심증상으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한 경우

  • 접종 후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 접종 후 4주 내 호흡곤란 , 흉통, 지속적인 복부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 접종 후 접종부위가 아닌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경우 등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의사의 진료를 통해 조기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회복 가능한 질환입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 감시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관련 전문 학회*와 신속한 사례 공유로 진단, 치료 대응역량을 강화해나가겠습니다.
* 대한신경과학회, 한국혈전지혈학회

2021.06.18

혈소판감소성 혈전증과 일반 혈전증의 비교

일반혈전증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의 비교입니다. 임상특징 및 검사지표 , 발생기전, 치료의 비교내용입니다.
- 일반혈전증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임상특징
동맥
  • 뇌동맥/ 관상동맥에 호발
정맥
  • 하지 심부정맥/폐동맥에 발생

아스트라제네카/얀센백신 접종 후 4일에서 28일 사이에 발병

  • 드물게 발생하는 부위인 뇌정맥동 및 내장정맥의 혈전이 특이적이나 다른부위(하지정맥 등)도 침범가능
검사지표
  • 관상동맥 (CK, Tnl 상승)
  • 정맥 (D-dlmer 상승)
  • 혈소판 감소 동반
  • D-dlmer 상승
  • PF4 ELISA 검사 양성
발생기전
  1. 1) 혈액흐름의 정체
    • 거동장애/심박세동/혈관기형
  2. 2) 혈관손상
    • 죽상동맥경화증/ 혈관염
  3. 3) 응고기능 이상
    • 탈수/암/자가면역질환/약물(여성호르몬제 등)
백신과 연관된 자가면역질환 추정
  • 헤파린 유도 혈소판감소증과 유사기전 혹은 아트스라제네카/ 얀센 백신에 포함된 유전물질이 특이 단백질을 생성하여 혈전증을 유발하는것으로 추정
치료
동맥
  • 혈전 용해제 혹은 혈전제거술, 스텐트 시술 및 항혈소판제
정맥
  • 항응고제
  • 혈액전문의에게 의뢰
  • 헤피린 및 혈소판수혈 금지
  • 항응고치료는 경구약 (라바록사반, 에독사박, 아픽사반, 다비가트란) 혹은 주사제(아가트로반) 사용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혈액응고장애 자문단(2021.6.11)

2021.06.18.

(대국민편)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무엇인가요?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관련 썸네일 이미지 입니다.

(의료인편)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이렇게 치료하세요.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관련 썸네일 이미지입니다.
TOP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