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핵심정보를 안내해 드립니다.
핵심 정보 리스트
보도자료
-
2023.02.02
12세 이상 화이자 단가백신, 7.31(월)까지 접종기간 연장(2.2.목)
12세 이상 화이자 단가백신, 7.31(월)까지 접종기간 연장 - 누리집을 통한 1차접종 예약은 6.5(월)까지 가능 - - 주요 내용 - □ 유효기간 연장으로 7.31(월)까지 12세 이상 화이자 단가백신 접종기간 연장 ○ 만 12세 이상 기초접종에 사용되는 화이자 단가백신의 유효기간 연장 * 유효기간 : (당초)‘23.1.31. >> (변경)‘23.7.31. ○ 코로나19 예방접종누리집을 통한 1차접종 예약은 6.5(월)까지 가능 1. 12세 이상 화이자 단가백신, 7.31(월)까지 접종기간 연장 □ 추진단은 보유 중인 화이자 단가백신의 유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기초접종이 7.31(월)까지 지속 유지된다고 밝혔다. 단, 접종간격이 8주인 점을 감안하여 누리집을 통한 1차접종 예약은 6.5(월)까지 가능하다. 제품명 당초 유효기간 변경 유효기간 코미나티주(토지나메란) (사스코로나 바이러스-2 mRNA백신) 2023.1.31. (제조일로부터 12개월) 2023.7.31. (제조일로부터 18개월) ○ 추진단은 화이자 백신의 유효기간 연장내역을 코로나19예방접종누리집(ncvr.kdca.go.kr)에 반영하여 접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다만, 접종수요*와 수급계획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단가백신 도입계획은 없으며, 향후에는 2가백신을 활용한 기초접종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일평균 접종건수 : (‘21년 12월 4주) 382,187건 → (’22년 6월 4주) 9,071건 → (’22년 12월 4주) 249건 □ 기초접종에는 총 4종(화이자,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얀센)의 백신이 사용되며, 백신별로 접종대상과 간격, 횟수가 상이하다. 또한, 의료기관별로 보유한 백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접종 전에 확인하여야 한다. 백신명 접종 연령 접종 간격 접종 횟수 화이자백신 12세 이상 1차접종 8주 이후 2회접종 6개월-4세용 화이자백신 6개월-4세 1차접종 후 8주 3회접종 2차접종 후 8주 5-11세용 화이자백신 5-11세 1차접종 8주 이후 2회접종 노바백스백신 12세 이상 1차접종 3주 이후 스카이코비원백신 18세 이상 1차접종 4주 이후 얀센백신 18세 이상 * 1회접종으로 기초접종 완료 1회접종 □ 동절기 추가접종은 기초접종을 완료한 경우에 접종할 수 있으며, 현재 유행하는 변이에 효과성이 뛰어난 mRNA 2가백신* 를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 mRNA 2가백신 4종 : 화이자 BA.1, 화이자 BA.4/5, 모더나 BA.1, 모더나 BA.4/5 ○ 다만, mRNA 백신 성분에 중증 알레르기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유전자재조합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다 * 스카이코비원백신, 노바백스백신 백신명 접종 연령 접종 간격 모더나(BA.1)백신 18세 이상 이전 접종 중 마지막 접종 3개월(90일) 이후 모더나(BA.4/5)백신 화이자(BA.1)백신 12세 이상 화이자(BA.4/5)백신 노바백스백신(제한적 사용)* 12세 이상 스카이코비원백신(제한적 사용)* 18세 이상 2. 이상사례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100주차)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사례에 대한 주간(100주차, 1.29.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이상사례 통계는 ‘만 나이’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 ○ 전체 예방접종 135,187,832건 중 이상사례는 482,451건(접종 천 건당 3.57건)이 신고되었고, 일반 사례는 462,990건(96.0%), 중대한 사례는 19,461건(4.0%)이었다. * 일반 이상사례는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는 특별관심 이상사례 등 주요 이상사례(경증 포함) 및 사망 사례 ※ 99주~100주 동안 신고된 이상사례는 198건 - (백신별) 기존 단가 백신접종 129,133,953건 중 이상사례는 480,213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3.72건(접종 천 건당)이었고, 2가 백신접종 6,053,879건 중 이상사례는 2,238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37건(접종 천 건당)이었다. [ 백신별 이상사례 신고건수 및 신고율 ] 구분 백신명 이상사례 신고(건) 신고율(접종 천 건당) 단가 백신 소계 480,213 3.72 아스트라제네카 110,413 5.43 화이자 246,472 3.04 모더나 113,190 4.50 얀센 8,887 5.88 노바백스 1,248 1.32 스카이코비원 3 0.59 2가 백신 소계 2,238 0.37 모더나(BA.1) 901 0.46 화이자(BA.1) 271 0.32 화이자(BA.4/5) 1,009 0.33 모더나(BA.4/5) 57 0.38 - (소아·청소년) 5~18세 예방접종 6,835,667건 중 이상사례는 21,449건(접종 천 건당 3.14건)이 신고되었고, 신고사례 중 일반 이상사례는 20,817건(97.1%), 중대한 이상사례는 632건(2.9%)이었다. ※ 자세한 내용은 https://ncv.kdca.go.kr 〉 이상반응 〉 이상반응 발생동향 〉국내 이상반응 발생동향 〉 코로나19 예방접종 안전성 보고서(100주차)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접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사례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사례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심근염·심낭염 진단가능 병원]을 통해 지역별 심근염·심낭염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안내 중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이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이상사례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으므로,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사례를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하였으며,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보상신청]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알림·서식]-[서식]의 신청양식 참조 3. '23년 제1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1월 31일 제2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신규사례 총 1,025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 ○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 접종 이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102건(9.95%)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 (사례1) 백신으로 인한 일반 이상반응의 발생시기(통상 접종 후 3일이내) 및 지속기간(통상 접종 후 7일이내 완쾌(호전))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지는 경우* * 접종 300일 이후 발생한 근육통, 접종 이후 한 달 이상 지속된 무기력감 - (사례2) 기저질환 및 백신과 관련 없는 합병증으로 발생한 경우(폐결핵, 만성신장병 등) - (사례3) 십이지장염, 급성 담낭염 등 백신이 아닌 감염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 □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93,025건*, 심의 완료 건수는 81,231건(87.3%)으로, 이 중 사망 16건 포함 총 22,767건(28.0%)이 보상 결정되었다. * 이의신청건(5,675건) 포함 ○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4,742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508건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심의 현황] 구분 심의건수1) 보상2) 기각 진료비 사망일시보상 장애일시보상 총계 81,231 22,767 22,762 16 - 58,464 보상 위원회 심의 소계 66,489 17,259 17,254 16 - 49,230 신규심의 1,025 102 102 - - 923 기존누계 65,464 17,157 17,152 16 - 48,307 시·도 자체 심의 14,742 5,508 5,508 - - 9,234 1)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의 심의 사례 30,018건, 30만원 미만의 심의 사례 51,213건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보상의 종류로 구분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센터장 조경숙, 이하 피해보상지원센터)는 오늘까지 재심의 등을 통해 결정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례와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사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1,285명이며,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8명이다. ○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48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 40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 〈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관련성 의심질환*이 발생하고,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심의기준 ④-1**에 해당하는 경우 * 관련성 의심 질환: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WHO, EMA, 식약처, 코로나19백신 안전성위원회 등)에 의해 백신과 관련성이 제기되거나 통계적 연관성이 제시되는 질환 ** 심의기준 ④-1: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probably not related, unlikely) - (지원범위) 사망위로금 1억원, 의료비(진료비 및 간병비) 5천만원 한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2일 내 사망하고, 부검 결과 ‘사인 불명’ 사례 - (지원범위) 1천만원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사망일시보상금(장제비 포함) 및 사망위로금 현황] 구분 계 질환 인과성 인정 16명 혈소판감소성혈전증(1명), 심근염(15명) 관련성 의심질환 8명 심근염(3명), 모세혈관누출증후군(3명), 길랭-바레증후군(2명)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누적)확진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1.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1. 26.~2. 1.) 2.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통계 현황(2.2.(목) 0시 기준) 3.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 4. 2가백신의 효과성 5.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한 2가백신 안내문 6. 동절기 추가접종 2가백신 알아보기 (안내문) 7. 동절기 추가접종 Q&A 8. 영유아(6개월-4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 포스터 9. 청소년(12-17세) 동절기 추가접종 안내문 10. 동절기 추가접종 포스터(건강한 겨울나기) 11. 감염병 보도준칙 -
2023.02.02
2022년 국가예방접종 인식 조사 결과 발표(2.2.목)
2022년 국가예방접종 인식 조사 결과 발표 - 확대되는 국가예방접종 사업의 만족도 및 접종 의향 높아 - - 주요 내용 - □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사업」 만족도는 84.2%로 비교적 높으며, 만12세 및 만18~26세 저소득층 여성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 「로타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사업」 신규 도입에 86.5%가 필요하다 인식 ○ 미접종자 부모의 85.0%가 향후 국가예방접종사업 접종 의향 □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2년 대상자가 확대*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과 올해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신규 도입되는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고 밝혔다. * (기존) 만12세 여성 → (추가) 만13~17세 미접종 여성 및 만18~26세 저소득층 여성 ○ 인식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정부의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이용 의향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람유두종바이러스(이하 HPV)는 자궁경부암, 항문암, 질암, 구인두암의 주요 원인이며,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기 장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두 바이러스 모두 예방접종을 통해 발생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다. * (HPV) 해당 암의 70~90% 이상 예방 효과, (로타바이러스) 83~86% 예방 효과 □ 2022년 국가예방접종 인식 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HPV 인식) HPV에 대한 인지도는 82.0%이며, ‘HPV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68.3%로 나타났다. - 예방접종 참여의향은 70.1%이며, 접종 의향이 없는 경우는 이상반응 및 부작용에 대한 우려(46.8%)가 주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HPV 국가예방접종사업 인식) HPV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대해서는 70.7%가 알고 있으며, 만 12세 여아 자녀를 둔 부모의 인지도가 87.0%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사업’ 인지도 - 인지 경로는 병원․보건소 내 전단지 등을 통해 주로 인지(35.5%)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청소년은 학교 홍보․알림을 통해 인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사업’ 인지경로 -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는 응답자의 절반 정도인 53.0%가 알고 있었고, 국가예방접종사업을 통해 정부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졌다는 응답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신뢰도 높아짐(41.8%), 변화없음(49.8%), 신뢰도 낮아짐(8.4%) ○ (HPV 국가예방접종 이용실태) 예방접종 시기는 만12세 여아의 경우 11.88세였고, 만13~17세 여성청소년의 경우 13.23세였으며, 만18-26세 저소득층 여성의 경우 20.22세였다. - 예방접종 장소로는 내과․소아과 등 의료기관(77.0%)이 많았고, 진료 중인 병원이거나 거리가 가까운 병원이라는 이유가 많았다. -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84.2%로 비교적 높았으며, 만12세 및 만18~26세 저소득층 여성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장소 및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사업’ 만족도 ○ (HPV 캠페인 인식) 질병관리청이 제공하는 국가예방접종 관련 캠페인을 듣거나 본 적이 있는 비중은 48.0%로 나타났고, 주로 인터넷(포털사이트)을 통해 접촉했다는 의견(중복답변 포함)이 많았다. * 인터넷(47.0%), TV․라디오 프로그램(43.%), 병원․약국 등 의료기관(36.5%), SNS(33.3%) - 연령별로는 12세 여아를 자녀를 둔 부모는 인터넷이 주된 경로였고, 만13세~26세 여성의 경우 SNS가 주된 접촉 경로였다. -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3%가 신뢰한다고 응답하였고 관련 정보가 비교적 도움이 된다(68.8%)고 응답하였다. ○ (로타바이러스 인식)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인지도는 98.5%로, 생후 12개월 이하 자녀를 둔 부모 대부분이 로타바이러스에 대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자 대부분이 예방접종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그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인지도 -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의료기관/전문의료인(62.9%)’을 통해 알게 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12개월 이하 영유아의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필요도는 90.0%로, 생후 12개월 이하 자녀를 둔 부모 대부분이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필요도 ○ (접종실태)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은 80.0%가 접종했다고 응답하였고, 미접종 이유*는 “필수예방접종이 아니라서”라는 이유(30%)가 가장 많았다. * 미접종 이유 : 필수예방접종은 아니라서(30.0%), 로타바이러스 백신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17.5%), 예방접종후 이상증상․부작용 우려(10.0%) 등 그림. 자녀의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여부 및 자녀의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미접종 이유 - 자녀에게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을 한 이유로는 ‘소아과 의사/간호사가 권유(32.5%)’, ‘감염후, 증상이 우려(27.5%)’ 순으로 응답하였고, 관련 정보는 주로 의료기관․의료인(39.4%)을 통해서 얻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예방접종 장소로는 소아과(79.4%)가 가장 많았고 내과, 보건소에서 일부 접종했으며, 다니거나 진료 중인 병원(53.8%)이어서 선택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로타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로타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신규 도입에 대해서는 86.5%가 필요하다고 답변하였고,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 및 양육 부담 경감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85.5%)하고 있으며,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의 대상으로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접종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62.4%)’ 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미접종자 부모 중 85.0%가 향후 접종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국민인식 조사를 통해 국민이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많은 관심이 있고,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말하며, ○ “앞으로도 국가예방접종 사업이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하였다. - “아울러, 올해 3월 처음 시행 예정인 로타 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사업도 국민이 불편함 없이 접종받을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2022 국가예방접종(HPV 및 로타바이러스)」 인식 조사 주요 내용 -
2023.02.01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29.0% 감소(2.1.수.정례브리핑)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29.0%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낮음’으로 유지 -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1.22~28.)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21,146명(전주 대비 29.0%↓)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전주 대비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 주간(1.15.~1.21.)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22.81%로 전주(21.48%) 대비 증가 □ 중국출발 입국자 검사 등 관리 현황(1.22~28.) ○ 입국자 7,399명, 검사자 7,272명, 양성자 146명, 양성률 2.0% ○ 단기체류외국인 입국자 1,642명, 양성자 72명, 양성률 4.4% ○ 장기체류외국인 입국자 3,211명, 검사자 3,111명, 양성자 41명, 양성률 1.3% ○ 내국인 입국자 2,546명, 검사자 2,519명, 양성자 33명, 양성률 1.3%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1. 22.∼1. 28.)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1월 4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463명, 일평균 사망자는 2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3,361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일평균 계 재원중 위중증 460 450 468 482 489 481 410 463 - 사망자* 24 26 10 25 26 36 29 25 176 입원 80 75 60 83 112 134 88 91 632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0.8%, 70대가 22.1%, 60대가 11.3%로, 50대 이하 5.7%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계 176 (100.0) 33,361 (100.0) 0.11 463 (100.0) 성별 남성 95 (54.0) 16,380 (49.1) 0.12 278 (60.0) 여성 81 (46.0) 16,981 (50.9) 0.11 185 (40.0) 연령 80세 이상 107 (60.8) 19,916 (59.7) 1.96 185 (40.0) 70-79 39 (22.1) 7,554 (22.6) 0.45 145 (31.3) 60-69 20 (11.3) 3,785 (11.3) 0.12 79 (17.1) 50-59 6 (3.4) 1,364 (4.1) 0.03 30 (6.5) 40-49 1 (0.6) 452 (1.4) 0.01 8 (1.7) 30-39 1 (0.6) 153 (0.5) 0.01 5 (1.1) 20-29 1 (0.6) 79 (0.2) 0.01 3 (0.6) 10-19 1 (0.6) 21 (0.1) 0.01 3 (0.6) 0-9 0 (0.0) 37 (0.1) 0.01 5 (1.1)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1. 22.∼1. 28.)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1월 4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위중증 환자, 사망자, 병상가동률 감소 추세 등 전반적인 지표가 개선되고 있으며,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다만 위중증·사망자 발생은 추이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을 고려하였다. 구분 ’22.10월 ’22.11월 ’22.12월 ’23.1월 1주 (10.2.~) 2주 (10.9.~) 3주 (10.16.~) 4주 (10.23.~) 1-5주 (10.30.~12.3) 1-4주 (12.4.~12.31) 1주 (1.1.~) 2주 (1.8.~) 3주 (1.15.~) 4주 (1.22.~) 전국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3.3% 감소하여 일평균 463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35.8% 감소하여 일평균 25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1월 1주) 597명→ (1월 2주) 524명→ (1월 3주) 479명→ (1월 4주) 463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1월1주) 57명→ (1월2주) 51명→ (1월3주) 39명→ (1월4주) 25명 그림. ○ 1월 3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09명(88.3%),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4명(96.0%)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439명(94.8%),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25명(100.0%) ○ 1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8%, 치명률은 0.08%이었다. 그림. ○ ’23년 1월 28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4.6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44.8명(치명률 1.9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2.3명(치명률 0.45%), 60대는 52.8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1월 4주(1.22.~1.28.) 주간 신규 확진자는 148,020명으로 전주 대비 29.0% 감소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21,146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75로 4주 연속 1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1월1주) 41.4만 명 → (1월2주) 30.0만 명 → (1월3주) 20.8만 명 → (1월4주) 14.8만 명 ** 일 평균: (1월1주) 59,230명 → (1월2주) 42,930명 → (1월3주) 29,798명 → (1월4주) 21,146명 그림. 구분 12월 1주 (12.4.~12.10.) 12월 2주 (12.11.~12.17.) 12월 3주 (12.18.~12.24.) 12월 4주 (12.25.~12.31) 1월 1주 (1.1.~1.7.) 1월 2주 (1.8.~1.14.) 1월 3주 (1.15.~1.21.) 1월 4주 (1.22.~1.28.) 확진자수(명) 412,645 455,318 471,192 458,704 414,612 300,513 208,588 148,020 일 평균 확진자(명) 58,949 65,045 67,313 65,529 59,230 42,930 29,798 21,146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14.6 126.5 130.9 127.4 115.1 83.5 57.9 41.1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1 1.1 1.0 1.0 0.9 0.7 0.7 0.7 감염재생산지수(Rt) 1.04 1.08 1.04 1.00 0.95 0.85 0.77 0.75 ○ (고발생군) 전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 발생률은 80세이상(52.0명), 30-39세(51.0명), 20-29세(46.6명) 순으로, 고령층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및 비중 모두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1월1주) 103,403→ (1월2주) 80,030→ (1월3주) 58,847→ (1월4주) 38,743 ** 60세 이상 비율(%): (1월1주) 24.9→ (1월2주) 26.6→ (1월3주) 28.2→ (1월4주) 26.2 - 1월 3주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4.5%(8,461명/189,191명)로 전주 대비 0.4%p 증가하였으며,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시설 36.5%(3,091명/8,461명), 요양병원 35.9%(3,038명/8,461명), 주야간보호센터 12.3%(1,041명/8,461명) 순이었다. * 전체 확진자중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비율 (%): (12월4주) 3.7% → (1월1주) 3.6% → (1월2주) 4.1% → (1월3주) 4.5%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구분 1월 2주 1월 3주 1월 4주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계 300,513 (100.0) 83.5 208,588 (100.0) 57.9 148,020 (100.0) 41.1 30,130,730 (100.0) 58,576 성별 남성 134,347 (44.7) 74.9 91,914 (44.1) 51.2 66,098 (44.7) 36.8 13,963,505 (46.3) 54,466 여성 166,166 (55.3) 92.0 116,674 (55.9) 64.6 81,922 (55.3) 45.4 16,167,225 (53.7) 62,659 연령별 0-9세 15,263 (5.1) 61.7 11,545 (5.5) 46.7 9,257 (6.3) 37.4 3,073,397 (10.2) 87,000 10-19세 25,389 (8.4) 77.1 14,966 (7.2) 45.5 11,243 (7.6) 34.2 3,759,097 (12.5) 79,926 20-29세 42,653 (14.2) 95.0 28,499 (13.7) 63.4 20,955 (14.2) 46.6 4,388,955 (14.6) 68,394 30-39세 45,769 (15.2) 98.8 31,547 (15.1) 68.1 23,620 (16.0) 51.0 4,406,567 (14.6) 66,610 40-49세 45,864 (15.3) 81.2 31,517 (15.1) 55.8 22,780 (15.4) 40.3 4,594,050 (15.2) 56,906 50-59세 45,545 (15.2) 75.6 31,667 (15.2) 52.5 21,422 (14.5) 35.5 3,933,860 (13.1) 45,678 60-69세 40,422 (13.5) 78.0 29,522 (14.2) 57.0 19,145 (12.9) 36.9 3,283,432 (10.9) 44,349 70-79세 23,593 (7.9) 88.1 17,428 (8.4) 65.1 11,387 (7.7) 42.5 1,674,332 (5.6) 43,765 80세이상 16,015 (5.3) 101.4 11,897 (5.7) 75.3 8,211 (5.5) 52.0 1,017,040 (3.4) 45,080 [재감염 추정사례] □ 1월 3주(1.15.~1.21.)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2.81%로 전주(21.48%) 대비 증가했다.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 (12월4주) 19.02%, (1월1주) 19.92%, (1월2주) 21.48%, (1월3주) 22.81% ○ (누적발생) ’23.1.22.0시 기준, 28,489,494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1,315,716명, 누적구성비 4.59% 확인되었다. * (12월4주) 455,467(4.07%), (1월1주) 401,341명(4.29%), (1월2주) 284,452명(4.47%), (1월3주) 191,480명(4.59%) 그림. [예방접종 효과] □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2.7% 감소되었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3.7배, ‘4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8.0배가 높았다. * ‘2가백신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2.7%, ‘4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87.5% 낮음 그림. [병상가동률] □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과 수도권 3주 연속 감소하였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 수도권이 4주 연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3주 → 1.4주): (전국) 28.6% → 25.0%, (수도권) 28.1% → 24.1%, (비수도권) 29.7% → 26.8%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3주 → 1.4주): (전국) 27.1% → 21.9% (수도권) 27.3% → 22.2%, (비수도권) 26.8% → 21.2% 그림. 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먹는 치료제 처방률] □ 1월 4주차(1.22~1.28)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2.6%로 지난주(32.9%) 대비 0.3%p 감소하였다. 그림. [변이바이러스] ○ 국내 전체 오미크론 BN.1의 검출률은 48.9%로 전주 대비 2.6% 증가하였고, 이중 국내감염 사례 검출률이 50.4%로 1월 4주를 기준으로 우세종화되었다. BA.5(18.2%), BQ.1(9.0%), BQ.1.1(4.2%)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35.5%(-3.4%p)로 지속 감소세를 나타내었다. - 미국 내 발생이 증가하는 XBB.1.5는 11건 추가 검출(국내 5건, 해외유입 6건)되어, 누적 총 50건(국내 19건, 해외유입 31건)이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검출률) 1.1주 0.1% → 1.2주 0.4% → 1.3주 0.1% → 1.4주 0.4% 그림.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23.1.28. 0시 기준) ]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28.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세부계통 그 외 세부계통 BA.5 BF.7 BQ.1 BQ.1.1 소계 BA.2.75 BN.1 XBB.1.5 기타 전체 1월1주 34.4 6.0 7.3 4.8 52.5 10.0 32.4 0.2 4.9 1월2주 28.3 6.2 7.4 4.7 46.6 8.6 39.2 0.8 4.8 1월3주 22.0 3.1 9.3 4.5 38.9 10.1 46.3 0.5 4.2 1월4주 18.2 4.1 9.0 4.2 35.5 11.2 48.9 0.7 3.7 국내감염 1월1주 32.7 3.7 7.4 4.2 48.0 11.4 35.7 0.1 4.8 1월2주 26.0 3.5 8.1 3.0 40.6 9.9 44.5 0.4 4.6 1월3주 20.2 2.1 9.6 4.2 36.1 10.7 48.9 0.1 4.2 1월4주 18.3 3.1 9.5 3.7 34.6 11.2 50.4 0.4 3.4 해외유입 1월1주 40.9 15.3 6.8 7.1 70.1 4.1 19.3 0.9 5.6 1월2주 35.9 14.9 5.1 10.3 66.2 4.4 21.7 2.1 5.6 1월3주 40.1 12.2 6.8 7.5 66.6 3.4 19.7 4.1 6.2 1월4주 17.3 13.3 4.0 9.3 43.9 11.3 35.3 4.0 5.5 ○ 중국발 입국자 검역 강화에 따라, ‘23년 1월 18~24일 단기체류 확진자 81명 중 분석 가능한 총 19명의 검체에 대해 변이를 분석한 결과, BA.5 세부계통이 94.8%(BA.5 42.2%, BF.7 47.4%, BQ.1 5.2%)로 확인되었다. * ’23.1.2~1.24. 분석건수 누계 95명 구 분 계 BA.5 세부계통 BA.2 BA.2.75 BN.1 BA.5 BF.7 BQ.1 소계 1월 18~24일 100% 42.2% 47.4% 5.2% 94.8% - 5.2% - 누계(1월 2~24일) 100% 51.5% 41.1% 1.1% 93.7% 3.2% 2.1% 1.1% - 또한 이를 포함, ‘2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국가 호흡기 바이러스 통합감시(K-RISS)를 통해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 확진자 총 482명*에 대한 분석 결과, BA.5 세부계통이 96.3%(BA.5 62.9%, BF.7 32.8% 등)로 대부분임을 확인하였다. * 단기체류 확진자 95명 포함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 첨부파일 확인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1월 31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5,843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2.7%, 준-중증병상 22.3%, 중등증병상 11.2%이다. (단위 : 개) 구분 (개,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準-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준-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1,565 356 1,209 2,713 604 2,109 1,565 175 1,390 (+0) (-4) (+4) (+0) (+18) (-18) (+0) (+12) (-12) 수도권 1,046 232 814 1,789 416 1,373 659 50 609 (+0) (-1) (+1) (+0) (+21) (-21) (+0) (+5) (-5) 서울 230 86 144 452 151 301 221 13 208 경기 557 109 448 831 195 636 235 24 211 인천 259 37 222 506 70 436 203 13 190 비수도권 519 124 395 924 188 736 906 125 781 (+0) (-3) (+3) (+0) (-3) (+3) (+0) (+7) (-7) 강원 44 18 26 38 19 19 37 10 27 충청권 115 26 89 213 47 166 411 23 388 호남권 144 26 118 197 29 168 203 50 153 경북권 93 21 72 213 47 166 122 7 115 경남권 104 33 71 243 45 198 106 26 80 제주 19 0 19 20 1 19 27 9 18 ※ 증감은 전일 대비 변동량 [재택치료 현황] □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20,104명으로, 수도권 9,122명, 비수도권 10,982명이다. 현재 127,243명이 재택치료 중이다.(2.1. 0시 기준)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322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602개소가 있다.(1.31. 17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76개소 운영되고 있다.(2.1. 0시 기준) 4. 중국출발 입국자 검사 등 관리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중국출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강화 조치의 일환으로 시행(1. 2.) 중인 입국 후 검사 현황(4주차, 1.22.~1.28.)을 발표하였다. ○ 1. 22.부터 1. 28.까지 7일간 중국을 출발해 우리나라로 입국한 사람은 총 7,399명이며, 이 중 7,272명이 검사를 받았고, 양성자는 146명(양성률 2.0%)으로 확인되었다. - 공항에서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은 1,642명이며, 72명이 확진(양성률 4.4%) 판정을 받았고, -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장기체류 외국인 3,111명 중 41명(양성률 1.3%)이, 내국인 2,519명 중 33명(양성률 1.3%)이 확진되어 격리 조치 되었다. ○ 지난주 통계 자료(1.15.~1.21.)와 비교 시, 전체 입국자 양성률은 2.9%에서 금주 2.0%로 전주 대비 0.9%p 감소하였으며, - 단기체류외국인은 0.7%p, 장기체류외국인은 1.4%p, 내국인은 1.1%p가 감소하였다. 구분 중국출발 입국자 단기체류외국인 장기체류외국인 내국인 입국자 수 7,399 1,642 3,211 2,546 검사자 수 7,272 1,642 3,111 2,519 확진자 수 146 72 41 33 양성률 (전주대비증감) 2.0(△0.9) 4.4(△0.7) 1.3(△1.4) 1.3(△1.1) * 1. 22.~1. 25.까지 검사완료, 1. 26.부터 검사결과 집계 중 □ 지영미 본부장은 각 지자체와 보건소에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에 대한 검사가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 입국 후 검사 미실시자에게 유선으로 검사를 안내하고, 검사결과 양성일 경우 확진자가 격리지를 이탈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누적)확진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3.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1. 22. 0시 기준) 4.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5. 코로나19 확진자 연령대별 분포 (1. 22. 0시 기준) 6. 감염취약시설 발생 현황(1. 21. 기준) 7.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현황(1.28. 기준) 8. 1단계 의무 조정시(1.30.) 마스크 착용 의무 유지 시설 9.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카드뉴스 10. 실내 마스크 차용 의무 조정 안내자료(`23.1.31) 11.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관련 주요 FAQ (1.27. 업데이트 기준) 12. 주간 일별 중국발 입국자 검사현황 13.「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