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핵심정보를 안내해 드립니다.
핵심 정보 리스트
보도자료
-
2023.06.07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2.6% 감소(6.7.수)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2.6% 감소 -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낮음’으로 유지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5.28.~6.3.)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7,083명(전주 대비 2.6%↓) ○ 주간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전주 대비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5.28.∼6.3.)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5월 5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65명, 일평균 사망자는 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4,824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5.28. 5.29. 5.30. 5.31. 6.1. 6.2. 6.3. 일평균 계 재원중 위중증 183 170 176 169 166 155 138 165 사망자* 3 3 7 17 20 11 9 10 70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5.7%, 70대가 22.9%, 60대가 10.0%로, 50대 이하 1.4%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5.28.∼6.3.)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5월 5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위중증 환자, 사망자, 병상가동률 등 전반적인 지표가 개선되고 있으나, 증감반복 추세와 위기단계 하향에 따른 추이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을 고려하였다. <5월 5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2.10월 ’22.11월 ’22.12월 ’23.1월 ’23.2월 ’23.3월 ’23.4월 ’23.5월 1-3주 (10.2.~) 4주 (10.23.~) 1-5주 (10.30.~) 1-4주 (12.4.~) 1-2주 (1.1.~) 3-4주 (1.15.~) 1-4주 (1.29.~) 1-5주 (2.26.~) 1-4주 (4.2.~) 1주 (4.30.~) 2주 (5.7.~) 3주 (5.14.~) 4주 (5.21.~) 5주 (5.28.~) 전국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1.8% 감소하여 일평균 165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16.7% 감소(84명→70명)하였고 일평균은 10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5월 2주) 147명→ (5월 3주) 148명→ (5월 4주) 168명→ (5월 5주) 165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5월2주) 11명→ (5월3주) 10명→ (5월4주) 12명→ (5월5주) 10명 5월 5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46명(88.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0명(100%)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57명(95.2%),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10명(100.0%) 5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5%, 치명률은 0.05%이었다. ’23년 6월 3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4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84.9명(치명률 1.88%)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2.9명(치명률 0.44%), 60대는 55.3명(치명률 0.11%)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5월 5주(5.28.~6.3.) 주간 신규 확진자는 119,582명으로 전주 대비 2.6% 감소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7,083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0.95이며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 주간 누적: (5월2주) 12.7만 명→ (5월3주) 13.3만 명→ (5월4주) 12.2만 명→ (5월5주) 11.9만 명 ** 일 평균: (5월2주) 18,281명→ (5월3주) 19,116명→ (5월4주) 17,531명→ (5월5주) 17,083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4월 2주 (4.9~4.15) 4월 3주 (4.16~4.22) 4월 4주 (4.23~4.29) 5월 1주 (4.30~5.6) 5월 2주 (5.7~5.13) 5월 3주 (5.14~5.20) 5월 4주 (5.21~5.27) 5월 5주 (5.28~6.3) 확진자수(명) 74,810 88,238 90,890 105,970 127,968 133,812 122,716 119,582 일 평균 확진자(명) 10,687 12,605 12,984 15,139 18,281 19,116 17,531 17,083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20.8 24.5 25.2 29.4 35.5 37.2 34.1 33.2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0 1.2 1.0 1.2 1.2 1.0 0.9 1.0 감염재생산지수(Rt) 1.00 1.08 1.05 1.09 1.11 1.08 0.96 0.95 30-59세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감소하였다. 발생률은 10-19세(44.3명), 30-39세(40.7명), 20-29세(38.1명) 순으로, 청소년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및 발생 비중 모두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5.2주) 34,818→ (5.3주) 36,219→ (5.4주) 33,001→ (5.5주) 31,386 ** 60세 이상 비중(%): (5.2주) 27.2 → (5.3주) 27.1 → (5.4주) 26.9 → (5.5주) 26.2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5월 3주 5월 4주 5월 5주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계 133,812 (100.0) 37.2 122,716 (100.0) 34.1 119,582 (100.0) 33.2 31,766,502 (100.0) 61,756 성별 남성 56,456 (42.2) 31.5 52,252 (42.6) 29.1 51,081 (42.7) 28.5 14,671,641 (46.2) 57,228 여성 77,356 (57.8) 42.8 70,464 (57.4) 39.0 68,501 (57.3) 37.9 17,094,861 (53.8) 66,254 연령별 0-9세 5,275 (3.9) 21.3 4,907 (4.0) 19.8 4,831 (4.0) 19.5 3,153,940 (9.9) 89,280 10-19세 16,615 (12.4) 50.5 16,088 (13.1) 48.9 14,573 (12.2) 44.3 3,942,097 (12.4) 83,817 20-29세 19,495 (14.6) 43.4 17,654 (14.4) 39.3 17,106 (14.3) 38.1 4,626,872 (14.6) 72,101 30-39세 20,557 (15.4) 44.4 18,495 (15.1) 39.9 18,848 (15.8) 40.7 4,661,162 (14.7) 70,458 40-49세 18,698 (14.0) 33.1 16,984 (13.8) 30.1 17,218 (14.4) 30.5 4,829,612 (15.2) 59,823 50-59세 16,953 (12.7) 28.1 15,587 (12.7) 25.9 15,620 (13.1) 25.9 4,149,251 (13.1) 48,180 60-69세 17,655 (13.2) 34.1 16,508 (13.5) 31.9 16,154 (13.5) 31.2 3,494,804 (11.0) 47,205 70-79세 11,228 (8.4) 41.9 10,347 (8.4) 38.6 9,693 (8.1) 36.2 1,804,723 (5.7) 47,173 80세이상 7,336 (5.5) 46.5 6,146 (5.0) 38.9 5,539 (4.6) 35.1 1,104,041 (3.5) 48,936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비율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5.4주 → 5.5주): (전국) 43.0% → 35.0%, (수도권) 42.9% → 31.9%, (비수도권) 43.1% → 38.9%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5.4주 → 5.5주): (전국) 53.0% → 43.4%, (수도권) 51.3% → 45.4%, (비수도권) 55.3% → 41.1% [변이 바이러스] XBB.1.5의 검출률은 19.6%(-1.0%p)로 최근 5주 감소, XBB.1.9.1은 23.0%(-0.6%p)로 최근 4주간 20% 초반 유지, XBB.1.16은 15.0%(+0.3%p), XBB.2.3은 11.0%(+4.1%p)로 지속 증가 추세이다.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6.3.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XBB.1.5 XBB.1.9.1 XBB.1.9.2 XBB.1.16 XBB.2.3 XBB* BN.1 BA.2.75** 기타 전체 5월2주 25.9 21.5 15.6 9.3 5.7 3.6 8.9 6.5 3.0 5월3주 23.7 22.2 16.0 12.3 7.0 3.5 6.7 5.2 3.4 5월4주 20.6 23.6 21.6 14.7 6.9 3.3 4.5 3.0 1.8 5월5주 19.6 23.0 19.9 15.0 11.0 4.9 2.9 3.0 0.7 국내감염 5월2주 26.0 21.9 15.8 7.9 5.6 3.4 9.5 6.8 3.1 5월3주 23.7 22.9 16.6 11.4 7.0 2.9 6.9 5.4 3.2 5월4주 21.0 23.2 23.1 13.1 6.9 3.0 4.9 3.0 1.8 5월5주 19.3 23.3 20.6 13.5 11.5 4.7 3.0 3.1 1.0 해외유입 5월2주 24.4 17.1 13.0 26.0 7.3 5.7 1.6 3.3 1.6 5월3주 23.2 11.1 8.1 25.3 8.1 13.1 4.0 3.1 4.0 5월4주 17.5 27.7 7.3 31.4 6.6 6.6 0.7 2.2 0.0 5월5주 23.1 19.2 10.6 33.7 3.7 7.7 1.0 1.0 0.0 * XBB는 XBB.1.5, XBB.1.9.1, XBB.1.9.2, XBB.1.16, XBB.2.3을 제외한 XBB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 BA.2.75는 BN.1을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지표명 5월 2주 (5.7.~5.13.) 5월 3주 (5.14.~5.20.) 5월 4주 (5.21.~5.27.) 5월 5주 (5.28.~6.3.) 대응역량 ①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43.8 40.2 43.0 35.0 수도권 46.4 40.7 42.9 31.8 비수도권 40.4 39.4 43.1 38.9 ①-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명) 147 148 168 165 ② 중환자실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 비율(%) 7.1 7.4 4.9 4.2 수도권 5.5 5.6 3.9 2.6 비수도권 10.8 11.4 9.1 6.1 ③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58.3 57.9 53.0 43.4 수도권 60.8 61.3 51.3 45.4 비수도권 54.8 53.4 55.3 41.1 발생 ④ 주간 사망자 수(명) 76 73 84 70 ④-1 주간 치명률(%, 전체) 0.05 0.05 - - 60대 0.05 0.03 - - 70대 0.17 0.14 - - 80대 이상 0.48 0.64 - - 추정 주간 치명률(%) 0.08 0.06 0.06 0.05 ⑤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명) 133 125 150 126 ⑤-1 주간 중증화율(%, 전체) 0.15 0.15 - - 60대 0.20 0.16 - - 70대 0.46 0.42 - - 80대 이상 1.23 1.49 - - ⑥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명, 전체(검역 포함)) 18,281 19,116 17,531 17,083 수도권 10,791 10,978 9,727 9,301 비수도권 7,475 8,119 7,787 7,768 ⑥-1 주간 일평균 해외유입 확진자 수(명) 31 32 33 28 ⑥-2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 명당, 전체(검역 포함)) 35.5 37.2 34.1 33.2 수도권 41.5 42.2 37.4 35.8 비수도권 29.4 31.9 30.6 30.5 ⑥-3 주간 신규 확진자 수(명, 전체(검역 포함)) 127,968 133,812 122,716 119,582 수도권 75,537 76,849 68,087 65,110 비수도권 52,327 56,834 54,509 54,375 ⑦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명, 전체(검역 포함)) 34,818 36,219 33,001 31,386 수도권 19,083 19,509 17,197 15,941 비수도권 15,725 16,702 15,793 15,423 ⑦-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전체) 27.2 27.1 26.9 26.2 ⑧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전체) 13.8 15.1 15.9 15.0 ⑧-1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수(명, 전체) 17,615 20,267 19,463 17,937 ⑨ 감염재생산지수(Rt) 1.11 1.08 0.96 0.95 예방 접종 ⑩ 60세 이상 동절기 접종률(%, 대상자 대비) 34.8 34.8 34.8 34.8 ⑩-1 동절기 접종률(%, 12세 이상 대상자 대비) 15.4 15.4 15.4 15.4 ⑪ 60세 이상 예방접종 효과(미접종 대비 2가백신 추가접종) * 3월 2주차 기준 중증화 예방효과 사망 예방효과 82.3~94.2% 81.9~95.2% ※ (지표② 기준) 중환자실 감당가능 60세 이상 확진자 수(4월 4주∼): 전국 96,088명, (수도권) 67,551명, (비수도권) 28,537명 * 기준 : (중환자실 최대 확보 병상 수) 전국 2,825개, 수도권 1,986개, 비수도권 839개, (4주 평균 60세 이상 중증화율) 0.60%, (4주 평균 병상가중치) 1.0, (재원일수) 7일 ※ (지표④-1 기준) ‘주간 치명률’은 주간 확진자 중 사망자 수 비율을 확진일 기준으로 2주 전까지 산출(사망까지 모니터링 기간 필요, 국내 산출방식)하나, ‘추정 주간 치명률’은 집계된 사망자를 기준으로 최근 치명률을 산출함(Our World in Data 산출방식) ※ (지표⑩ 기준) 6월 2일 기준 산출※ (지표⑪ 기준) '23.2월1주3부터 3월2주차까지(8주간) 주차별 분석대상 중 각 접종군에 해당되는 대상자를 확진일 이후 28일간 중증화, 사망여부를 모니터링한 예방효과의 최소값, 최대값 <붙임> 1.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2.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5. 28. ∼ 6. 3.) 3. 「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
2023.06.07
(수도권질병대응센터) “수도권질병대응센터, 지역사회 결핵대응 강화를 위해 4개 시·도와 실무간담회 가져”(6.7.수)
“수도권질병대응센터, 지역사회 결핵대응 강화를 위해 4개 시·도와 실무간담회 가져” - 수도권질병대응센터, 「2023년 제1회 수도권역 지역사회 결핵대응간담회」 개최 질병관리청 수도권질병대응센터(센터장 윤현덕)는 ’23.6.7.(수)에 수도권역내 4개 시·도*와 「제1회 수도권역 지역사회 결핵대응간담회」를 개최한다. * 수도권질병대응센터 관할구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 2023년 수도권역 결핵대응간담회 개요 】 ㅇ 일시·장소 - ‘23.6.7. 11:00~15:30, 서울 서대문구 신라스테이 서대문 2층 미팅룸 ㅇ 참석자 - (질병관리청 수도권질병대응센터) 감염병대응과 과장, 결핵 역학조사 및 환자관리 실무자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결핵 실무담당관, 감염병관리지원단 등 ㅇ 주요내용 -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에 따른 지역사회 결핵관리 전략모색 및 협력방안 도출 이번 간담회에서는 지난 3월 24일 발표된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의 실질적인 이행강화를 위해 그간의 결핵 역학조사, 환자 치료·관리 사업 수행 경험을 공유하고, 지역사회 결핵대응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붙임 참고) *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 주요내용: ‘27년까지 결핵발생률 20명(10만명당) 이하 감소를 목표로 결핵 예방·관리 전주기(예방, 진단, 치료)에 걸쳐 정책 강화 코로나19 유행 상황 속에서도 수도권질병대응센터와 수도권역 4개 시·도는 연간 2천여 건의 결핵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추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잠복결핵감염자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 중인 결핵관리 정책의 성과에 힘입어 2022년 기준 수도권역 결핵환자는 1만 명 이하로 감소**하였다. * 수도권역 결핵역학조사 건수(추가환자수): (`20년) 2,135건(50명) → (`21년) 2,080건(52명) → (`22년) 1,800건(38명) ** 수도권역 전체 결핵환자수(율): (`20년) 12,286명(45.2명/10만) → (`21년) 11,104명(40.7명/10만) → (`22년) 9,930명(36.3명/10만) 수도권질병대응센터는 “감염병 대응의 전문성과 지자체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권역 내 결핵대응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이며, “보다 촘촘하고 세심한 결핵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역량 향상에도 힘써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2023년 제1회 수도권역 지역사회 결핵대응간담회」 프로그램 -
2023.06.07
[6.7.수.행사시작(15시30분)이후] 질병관리청, 한국정책학회와 기획세미나 개최
질병관리청, 한국정책학회와 기획세미나 개최 - 조직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체계 개선 방향 등 전문가 의견 수렴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6월 7일(수) 오후 3시 30분 질병관리청 청사(충북 청주)에서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질병관리청의 조직체계 안정화와 발전방안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소통하기 위한 기획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질병관리청은 조직의 정책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이번 세미나는 한국정책학회(학회장 김영미)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참석자) 상명대 김영미, 가톨릭관동대 주효진, 국민대 박현희, 서울과기대 성욱준, 전북대 정준호, 한양대 최돈위, 중앙대 이무열, 가톨릭관동대 안상준 교수 등 11명 이날 참석자들은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이후 조직체계 개선 방향’과 ‘조직문화 활성화 방안’ 등의 주제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세미나에서는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한 조직체계 정비 필요성과 질병청 구성원 간 핵심가치의 공유를 통한 협업역량 강화 등 조직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토론에 이어, 참석자들은 질병관리청의 병원체 진단분석실, 긴급상황센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 주요 시설을 방문하여 질병관리청의 주요 기능을 현장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자리를 가졌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개청 후 코로나19 대응에 가려져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질병청의 기능과 성과를 홍보해 나갈 계획”이라 말하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행정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질병청의 조직체계를 개선하고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질병관리청-한국정책학회 기획세미나 개요